부동산 뉴스

11·3대책 2주, '갭투자' 극성..전세서민 불안감 가중

6688 2016. 11. 18. 13:00

비강남권, 수도권 신도시 주요단지 전세낀 매물 찾기 힘들어
전셋값 상승, 깡통전세 등 부작용 우려 커져

 

 

 

"요즘 전세 낀 매물은 씨가 말랐어요. 분양시장이 규제로 위축되니까 기존 아파트 갭투자로 몰려들어요. 1억원 갖고 와서 두세 채 구해달라는 분도 여럿 있어요."(서울 성북구 석관동 A공인)

"얼마 전 30대 초반의 젊은 투자자가 새 집주인이 됐어요. 3000만원 갖고 갭투자로 집을 샀다네요. 집값 띄우려고 전세금 올리지는 않을지, 계약만기 제때 전세금 돌려줄 수는 있을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네요."(파주 운정신도시 김모씨)

 

 

 

                        최근 주요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 오른 갭투자 문의 게시글들

 

 

분양시장 규제를 강화한 '11·3 부동산 대책' 이후 기존 아파트를 겨냥한 '갭(Gap)투자'가 일부 지역에서 극성을 부리고 있다. 저금리 기조에 마땅한 투자처가 없다보니 분양시장에 흐르던 돈이 기존 아파트로 옮겨간 것이다.

하지만 갭투자의 경우 전셋값 상승과 '깡통전세' 등의 부작용을 안고 있어 서민들의 불안감은 커지는 분위기다.

18일 서울 비강남권, 수도권 신도시 일부지역 공인중개소와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는 아파트 갭투자에 대한 문의가 크게 늘었다.

갭투자란 집값과 전세금의 차이를 이용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투자 방식을 말한다. 예컨대 3억원짜리 아파트의 전세가 2억7000만원이면 3000만원을 가지고 집을 사는 것이다. 나중에 아파트 값이 3억3000만원으로 오르면 3000만원을 가지고 3000만원을 버는 방식이다.

전세금으로 매매자금을 대체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수요가 많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주로 이뤄진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10월 기준)은 73.7%다. 경기도는 78.3%로 이보다 높다. 서울에서는 성북구가 84.0%로 가장 높고 고양시와 용인, 파주 등 수도권 일부 신도시도 80%를 상회한다.

파주 운정신도시 일대 A공인중개소 관계자는 "한빛마을2단지의 경우 전용면적 84㎡ 주택형 매매가가 3억3500만원인데 전셋값이 3억500만원이다. 3000만원만 있으면 한 채를 살 수 있다"면서 "분양권처럼 소액투자가 가능해 30대 사회초년생과 전업주부 등 초보투자자도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성북구 석관동 F공인 관계자도 "전세가율이 90%를 넘는 단지를 중심으로 갭투자 문의가 늘었다"면서 "비용적인 면에서 분양권 투자와 큰 차이가 없다보니 분양시장 규제 이후 돈이 이쪽으로 향하는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갭투자가 늘자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은 줄고 전세가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중 전세 비중은 67.8%(16일 기준)를 기록, 3월 저점(61.9%) 대비 5.9%포인트 올랐다. 월세 비중은 38.1%에서 32.2%로 떨어졌다.

문제는 이에 따른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투기 세력이 집값을 띄우기 위해 전세금을 시세보다 올릴 경우 전세난을 부추길 수 있다. 집값이 하락할 경우에는 전세금과 매매가가 역전돼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깡통전세'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정부 규제가 기존 아파트는 건드리지 않아 전세를 낀 갭투자 거래는 계속될 것"이라면서 "투기 세력들이 전세금을 올릴 경우 이를 감당 못한 세입자들은 이사 나가거나 추가 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사 원문보기: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161118070017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