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
1.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
더불어 양도소득세는’양도소득 과세표준 ⅹ 양도세율’의 계산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높은 양도세율을 적용 받게 되더라도 양도소득 과세표준이 작다면 납부해야 할 양도소득세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그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2.
취득가액이 가장 중요
대부분 사람들은 양도소득세와 관련해 양도소득 세율만을 생각하고 취득가액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취득가액은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단적인 경우 양도소득 세율이 50%라 할지라도 양도가액 - 취득가액 = 0 의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0"원이 된다. 즉, 이러한 경우 취득가액이 절세에 있어 키포인트가 된다.
여기서 취득이란 매매·교환·상속·증여·기부·건축 등 유상·무상을 불문한 일체의 취득행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상속 및 증여도 하나의 취득행위이다.
따라서 토지 등 부동산을 상속 받은 경우, 상속 받을 때 그 당시 시가로 상속세를 신고한다면 양도 시 취득가액은 상속받은 당시의 시가가 된다. 이 때 ”상속세 신고"는 하나의 절세 전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3. 양도소득 세율
양도소득 세율은 크게 누진세율과 중과세율로 나눌 수 있다. 부동산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세율만을 고려할 때, 우선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만 누진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기 때문에 2년 미만의 단기 보유의 경우에는 중과세율을 적용 받게 된다.(주택은 1년 미만 보유 양도만 중과세) 2014년의 경우는 비사업용토지 보유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기본 누진세율이 적용된다.
2012년부터는 1세대 1주택 요건에서 거주요건이 폐지되었다. 이는 세율부분에서 큰 플러스 요인으로, 만약 거주요건을 채우지 못해 매각하지 못한 1주택이 있다면 올해 매각을 고려해 보는 것도 괜찮은 전략이다.
4. 배우자 증여공제 활용
또한 현재 배우자 증여에 대하여는 6억까지 증여세 공제가 되고 있는 바, 이 또한 양도소득세 절세의 포인트가 될 수 있다. 1세대 2주택으로서 주택의 명의자가 한 명으로 되어 있는 경우 배우자 증여가 이루어지면 이는 1세대 2주택인 사실에는 변동이 없으나, 증여 당시 증여가액을 취득가액으로 하므로 과세표준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가 있다.
단, 이 경우 취득행위를 하였으므로 취∙등록세는 납부하여야 하며, 5년 이내 양도시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양도가액에서 공제할 취득가액을 증여한 배우자의 취득 당시 가액으로 함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증여전과 후의 세금을 비교해 무엇이 더 나을지 결정해야 한다.
5. 취득과 동시에 양도 생각해야 절세 가능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적용 세율이 높다고 무조건 양도소득세 납부세액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발상을 조금만 전환하면 의외의 부분에서 절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증여의 경우 증여 받은 후 5년 이내에 양도하면, 이는 증여행위를 배제하고 최초 증여자가 양도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절세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외에도 세법상 여러 제재 조항을 두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절세 계획을 세워야 한다. 때문에 이 또한 양도직전이 아닌 취득 당시 절세 상담을 통해 여러 방법을 생각하여 두는 것이 좋다.
자산을 양도해야 할 상황에 직면해서야 납부해야 할 세금에 대해 고민하고 절세를 위해 여기 저기 알아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언제나 자산의 취득과 동시에 그 자산의 양도를 생각하고 절세 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한 재테크라는 것을 항상 염두하며 행동하길 바란다. 비록 그 자산을 양도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는 경우일지라도 말이다.
[이자료는 가장쉬운 세금정보 비즈앤텍스에서 제공]
'부동산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절세Tip (0) | 2020.08.17 |
---|---|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및 증여세 변경 (0) | 2020.08.15 |
상속세란? (0) | 2015.02.11 |
증여세란? (0) | 2015.02.07 |
부동산 취득세 (0) | 2014.06.06 |
댓글